티스토리 뷰

반응형

 

 

 

사춘기 아이의 증상이 심각한 가정을 들여다 보면 역시나 부모와 아이와의 관계가 원활하지 않을 뿐만아니라 양쪽 모두 치료를 받아야 하는 상태에 이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이만의 잘못이라 말 할 수 없고 아이를 이해하지 못하는 부모로부터 오는 불신이 아이를 반항하게 만듭니다. 과연 사춘기 아이를 어떻게 대해야 할까 고민해 봐야 합니다.

 

 

 

 

 

 


추천

  * 사춘기 청소년를 둔 부모에게 전하는 한마디 :청소년 인성교육을 위한 제안

  * 사춘기 청소년를 둔 부모에게 전하는 한마디 : 사춘기 없는 아이는 없다.

  *사춘기 청소년를 둔 부모에게 전하는 한마디 : 고민하지 않으면 아이가 죽는다

  * 사춘기 청소년를 둔 부모에게 전하는 한마디 : 사춘기의 뇌는 업그레이드 중(사춘기증상)

  * 중2 괴물, 태어난 것이 아니라 만들어졌다

  * 사춘기 자녀를 대하는 방법- 사춘기 딸과 아들을 위한 사춘기 증상 실전해결법 best3

  * 청소년 사춘기 자녀교육의 핵심 베스트5- 아이를 바꾸다!

  *자녀교육- 사춘기 자녀교육을 위한 바이블 <엄마는 아이의 사춘기가 두렵다>


 

 

 

 

 

 선택하라. 내가 죽을 것인지 아이를 잃을 것인지.

 

 

 

 

 

매일을 살아가노라면 항상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된다. 무슨 말을 할지, 어떻게 행동할지, 저 사람이 좋아할지, 내 아이에게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 부모들을 만나서 이야기해 보면 한 결 같이 말한다.

 

아이에게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부모가 꼭 무엇을 해야 하나?

한국 사람들은 관광을 가면 꼭 체험을 하든 쇼핑하든 뭘 해야 한단다. 그래서 패키지 상품을 선호한다는 이야기를 종사자들을 통해 종종 듣곤 한다. 그냥 편히 쉬면 안 되는 걸까? 한적한 모래사장에 파라솔 하나 꽂아놓고 하늘을 이불삼아 누워있으면 안되냐는 것이다.

 

아이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사춘기의 아이들은 지쳐있다. 학교에서 공부하랴 학원가랴 친구들과의 관계도 유지하랴 놀고 싶기도 하고, 하고 싶은 일이 많기도 하지만 해야 할 일이 많은 친구들이다. 거기에 대고 부모들은 요구한다. 대부분의 상담을 들어보면 아직 아이는 부모가 원하는 수준에 있는 것도 아닌데 안달복달하는 모습들을 보게 된다. 그렇다고 그냥 방치하자는 말이 아니다. 문제는 필요이상의 학습량이나 친구와의 관계 개선을 위한 과도한 액션을 요구하는데 있다.

이게 다 너를 위한 일이다.’ 라고 말하며 아이들을 이끌고 가지만 정작 아이들이 가장 싫어하는 말 중에 하나를 강요하고 있는 셈이다. 무엇이 아이들을 위한 것일까? 여기서 부모 된 우리는 또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된다. 엄친아를 보면 강요를 해서라도 끌고 가야할 것 같고 전문가들의 이야기를 들으면 또 들리는 데로 끌려가기 일수다. 어쨌거나 선택을 해야 한다. 그런데 문제는 지금까지 익숙한 데로 선택하기 마련이다.

 

감정은 습관이다’(추수밭, 2013)의 저자 박용철 닥터에 의하면 우리의 뇌는 좋은 감정보다 익숙한 감정을 좋아한다고 말하고 있다. 어떤 것이 좋은 것인지 충분히 인지하고 있지만 결국에는 익숙한 데로 흘러간다는 것이다. 평소에 불만을 말하는 사람에게 좋은 일이 생겨도 좋은 일을 외면하거나 별로 좋지 않다는 식으로 말을 하게 된다. 그렇다면 왜 뇌는 익숙한 것을 좋아할까? 저자는 ‘2차 이득이 있기 때문이라 설명한다. 사춘기의 아이들이 시험을 보기 전 멀쩡하다가도 갑자기 배가 아프다거나 머리가 아프다고 호소하는 경우가 있다. 아픔이나 이상 현상을 통해 그 순간을 회피할 수 있다는 2차 이득이 생기기 때문이다.

 

사춘기 아이들에게 배설한 것이 무엇인가?

아이들을 향하여 평소에 부모가 쏟아 놓았던 말들이 무엇인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말 속에는 감정이 숨어 있는데 습관이 되어버리지는 않았나? 부모가 사춘기의 정점을 찍고 있는 중2를 핑계로 우리 아이가 그럴 수밖에 없었음을 말하고 있지는 않나? 모든 책임을 아이에게 떠미는 것이다. ‘난 해 줄만큼 다 해 주었어.’라고 스스로 위안삼기 위해 아이들의 잘못을 방패로 삼는 일들이 심심치 않게 있음을 보게 된다.

 

무엇을 어떻게 선택할 것인가가 미래의 우리 아이들을 결정짓는다는 생각이 머릿 속에서 떠나지 않게 하자. 공부하지 않는 아이를 향하여 속사포 같은 잔소리를 쏟아 부을 것인지 아니면 마음을 가라앉히고 아이가 공부를 할 수 없었던 이유를 들어 볼 것인지 선택해야 한다. 결코 감정대로 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다. 감정은 감정을 낳기 때문이다. 차라리 감정대로 할 것이라면 좋은 감정을 쏟아내라. 그러면 아이도 좋은 감정으로 부모에게 다가올 것이다. 한 번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반복하여 좋은 감정이 습관이 되도록 만드는 것이다.

 

후회할 일을 반복하다 보면 습관이 되어 똑 같은 일 즉, 후회할 만한 일이 생겨난다. 인식은 사라지지만 습관은 몸에 남아 있어 나도 모르는 사이에 밖으로 나오게 되어 있다. 그것이 습관의 본 모습이 아닌가?

 

우리는 선택해야 한다. 거칠 것 없는 시기를 지나고 있는 아이들을 향하여 감정을 폭발시킬 것인지 아니면 부모 안의 나를 조절할 수 있는 힘을 키울 것인지....

사춘기 아이들의 일탈을 보며 독설을 내 뱉는다.

 

들어가서 공부나 해.”

너 그 따위로 살거야. 얼마나 병신 같은지 알아?”

나가 죽어, 너 같은 건 살 필요가 없어.”

내가 너를 위해서 어떻게 살았는데.”

 

나의 감정을 죽이고 아이를 살릴 것인지 아니면 폭풍 속에 있는 아이를 잃어버리고 말 것인지 선택해야 한다.

 

눈 깜짝할 사이에 아이를 잃어버릴 수 있다.

 

1980. 내가 6살 무렵인 듯싶다. 시골 촌뜨기가 어머니를 따라 서울 친척집 결혼식에 가게 되었다. 잔치집에 떡이 빠질 수 없지 않나? 떡을 준비하기 위해 동네 방앗간으로 나를 데리고 이모님들과 함께 갔다. 방앗간이 그러하듯이 그 당시 방앗간은 온 동네 사람들로 넘쳐났고 사람이 많았던 모양이다. 시골에서 올라온 나는 어머니를 잃어버리고 말았다. 지금 기억에 의하면 징검다리 한가운데서 물장난을 했는데 사람들이 나를 넘어 지나가던 일이 생각난다. 그 때는 길을 잃었다는 생각도 못했다. 그리고는 요쿠르트 판매하는 아주머니를 열심히 따라다녔다. 나중에 들은 이야기지만 경찰서에 몇 주를 있었다고 한다. 아마도 요쿠르트 판매하는 아주머니께서 나를 관할 경찰서에 데려다 놓으신 모양이다. 그 당시 나를 발견했을 때의 모습은 검정고무신을 신고 손에는 건빵을 쥐고 경찰서 쇼파에 앉아있었다고 한다.

어머니는 애가 타고 정신이 나갈 정도로 찾아다녔다고 한다. 집안의 장남을 잃어버렸으니 오죽 하셨겠는가? 아이를 잃어버린 어머니의 마음을 무엇에 비교할 수 있을까? 부모가 돼서야 알 수 있었다. 나 또한 아들 성혁이를 서울에서 잃어버린 적이 있었는데 그 때서야 절절이 부모의 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의 사랑하는 사춘기의 아이들을 인생길에서 결코 잃어버릴 수 없다. 나를 죽여서라도 아이를 폭풍 속에서 건져내야 하지 않을까? 머뭇거리기에는 시간이 없다.

 

나를 죽이고 아이를 살릴 것인지, 내가 살고 아이를 잃을 것인지. 그 선택이 부모와 아이의 삶을 바꿀 것이다.

 

 

 

 

킹메이커교육연구소 조덕형 소장

<엄마는 아이의 사춘기가 두렵다> 저자

 

 

 

 

 

반응형
댓글